고려시대 문학에 대하여
by 송화은율고려시대문학
1. 시대 배경
(1)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시대
① 이 자겸의 난, 묘청의 난(인종)
② 문무의 반목과 경제적 파탄(의종 이후)
③ 무신집권
④ 몽고의 침입(40년간 강화 천도)
(2) 문화의 융성
① 신라의 문화 계승
② 과거제도 실시로 학예, 문화가 융성(대장경, 활자, 주자학 도입)
2. 고려 시대 문학의 특징
(1) 시가문학에서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분립
(2) 한문학의 발달로 인한 국문학의 위축
※ 한문학 발달 원인
ⓐ 전대 한문학의 영향
ⓑ 과거제도 실시
ⓒ 왕의 한문학 장려
(3) 향가문학의 쇠퇴 : 향가는 ‘보현십종원왕가’를 마지막으로 소멸되었으나, 향가의 형식이나 표기법은 쉽게 소멸되지 않았을 것이다. 향가의 전통은 그 뒤에 현종이 신하와 같이 현화사에 나가 사뇌가 12수를 지어 현판에 새겨 걸었다는 기록이 [비은기(碑隱記)]]에 남아 있다. 그리고 향가는 쇠잔해 가면서도 <향가계 여요>의 형태로 남았다.
※ 이유 : 한문학의 발달과 향찰 표기의 비능률성
① 도이장가 : 예종15(1120) - 8구체 --- <도이장가>
② 정과정 : 의종20(1166)경 - 10구체 --- <정과정>
(4) 경기체가와 속요 등장
※ 경기체가 : 거의 한자 나열
속요 : 고려문학의 진수(평민들에 의해 구전되다 조선조에 와서 정착됨)
--- <경기체가>, <고려속요>
(5) 설화문학의 분류 : ⓐ 전래문학 정리, ⓑ 패관문학, ⓒ 가전
* 전래 설화의 수록
* 패관문학의 발달 및 가전의 발생 --- <패관(稗官)>, 가전(假傳)>
수이전(殊異傳) : 문종, 박인량. 최초의 설화집,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전함
파한집(破閑集) : 고종, 이인로. 시화, 문담, 기사 등의 작품. 개성, 평양 풍속 소개
보한집(補閑集) : 고종, 최자. 최우의 건의에 의해 항간의 야사, 설화 수록
백운소설(白雲小說) : 신종 이규보 문집. 상정고금예문의 인쇄 사실이 소개됨
역옹패설(擽翁稗說) : 공민왕 이제현. 이문(異聞), 기사(奇事), 시문 인물평 수록
[익제난고]의 부록
(6) 시조의 발생으로 인한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통합을 시도(국민문학)
--- <시조>
①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우탁)
②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우탁)
③ <구름이 무심탄 말이 아마도 허랑하다> (이존오)
④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흘레라> (이색)
⑤ <이런들 엇더하리 저런들 엇더하리> (이방원)
(7) 한문학의 융성 : 초기의 한문학은 사륙문 및 문선(文選) 문학과 만당풍이 유행하다가, 과거 제도 실시 이후에는 금체시(今體詩)가 숭상되었고, 후기에는 송나라 시학이 시문학의 기준이 되었다. 고려 말기에 전래된 주자학(朱子學)은 이색, 정몽주 등의 학자를 배출하여 조선시대 학 문의 기틀을 잡았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최승로, 최충, 박인량, 김황원, 정지상, 김부식, 이인 로, 오세재, 임춘, 이규보, 이제현, 이곡 등이 있다.)
① 동명왕편(東明王篇) : 명종 23년(1193), 이규보
② 제왕운기(帝王韻紀) : 충렬왕, 이승휴
③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 고종, 이규보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