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고려시대 문학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고려시대문학

 

1. 시대 배경

(1)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시대

이 자겸의 난, 묘청의 난(인종)

문무의 반목과 경제적 파탄(의종 이후)

무신집권

몽고의 침입(40년간 강화 천도)

(2) 문화의 융성

신라의 문화 계승

과거제도 실시로 학예, 문화가 융성(대장경, 활자, 주자학 도입)

 

2. 고려 시대 문학의 특징

(1) 시가문학에서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분립

(2) 한문학의 발달로 인한 국문학의 위축

 

한문학 발달 원인

전대 한문학의 영향

과거제도 실시

왕의 한문학 장려

 

(3) 향가문학의 쇠퇴 : 향가는 보현십종원왕가를 마지막으로 소멸되었으나, 향가의 형식이나 표기법은 쉽게 소멸되지 않았을 것이다. 향가의 전통은 그 뒤에 현종이 신하와 같이 현화사에 나가 사뇌가 12수를 지어 현판에 새겨 걸었다는 기록이 [비은기(碑隱記)]]에 남아 있다. 그리고 향가는 쇠잔해 가면서도 <향가계 여요>의 형태로 남았다.

이유 : 한문학의 발달과 향찰 표기의 비능률성

도이장가 : 예종15(1120) - 8구체 ---  <도이장가>

정과정 : 의종20(1166)- 10구체 ---  <정과정>

 

(4) 경기체가와 속요 등장

경기체가 : 거의 한자 나열

속요 : 고려문학의 진수(평민들에 의해 구전되다 조선조에 와서 정착됨)

---  <경기체가>, <고려속요>

 

(5) 설화문학의 분류 : 전래문학 정리, 패관문학, 가전

* 전래 설화의 수록

* 패관문학의 발달 및 가전의 발생 ---  <패관(稗官)>, 가전(假傳)>


수이전(殊異傳) : 문종, 박인량. 최초의 설화집,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전함

파한집(破閑集) : 고종, 이인로. 시화, 문담, 기사 등의 작품. 개성, 평양 풍속 소개

보한집(補閑集) : 고종, 최자. 최우의 건의에 의해 항간의 야사, 설화 수록

백운소설(白雲小說) : 신종 이규보 문집. 상정고금예문의 인쇄 사실이 소개됨

역옹패설(擽翁稗說) : 공민왕 이제현. 이문(異聞), 기사(奇事), 시문 인물평 수록

                 [익제난고]의 부록


(6) 시조의 발생으로 인한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통합을 시도(국민문학)

---  <시조>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우탁)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우탁)

<구름이 무심탄 말이 아마도 허랑하다> (이존오)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흘레라> (이색)

<이런들 엇더하리 저런들 엇더하리> (이방원)

 

(7) 한문학의 융성 : 초기의 한문학은 사륙문 및 문선(文選) 문학과 만당풍이 유행하다가, 과거 제도 실시 이후에는 금체시(今體詩)가 숭상되었고, 후기에는 송나라 시학이 시문학의 기준이 되었다. 고려 말기에 전래된 주자학(朱子學)은 이색, 정몽주 등의 학자를 배출하여 조선시대 학 문의 기틀을 잡았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최승로, 최충, 박인량, 김황원, 정지상, 김부식, 이인 , 오세재, 임춘, 이규보, 이제현, 이곡 등이 있다.)

동명왕편(東明王篇) : 명종 23(1193), 이규보

제왕운기(帝王韻紀) : 충렬왕, 이승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 고종, 이규보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