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고대의 문학

by 송화은율
반응형

 

고대의 문학

 

시대 개관

 

1. 고대 문학이 형성된 이래 향가와 설화가 중심을 이룬 시가 한국 문학이 발생하고, 향가가 꽃을 피우고, 많은 설화가 구비 전승된 시기이다.

2. 4대 문명 발상지를 중심으로 문학이 형성된 시기 중국, 인도, 아랍, 그리스, 둥지에서 다양한 고대 문학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학습 내용

 

이 시기 문학의 특징

시대적 특징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정착한 우리 민족이 부족 국가, 고대 국가를 건설함.

문학적 환경

문자가 없어 구비 전승됨.

문학, 음악, 무용이 혼합된 원시 종합 예술이 행해짐.

독자적인 민족 문화의 형성.

한국문학의 양상

고대 문학의 형성

건국 신화 : 서사 문학의 원형적 모습.

고대 가요 : 한역되어 전함.

향가

한자의 뜻과 소리를 빌려서 우리말을 표현한 향찰로 기록됨.

향가의 형식 : 4구체, 8구체, 109체.

향가의 내용 : 사랑, 주술, 종교적 신앙, 찬양, 추모

향가의 작가 : 서민, 화랑, 승려.

세계 문학의 양상

설화와 한문학

설화 : 서사 문학의 중심, 구비 전승되다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에 기록됨.

한문학의 발달 : 한자의 도입으로 한시가 창작됨.

동아시아 문학

중국 : '시경', '논어' 등 많은 책이 편찬되고, 당나라 때에는 시문학이 꽃을 피움.

일본 : 설화의 기록과 노래책 '만엽집' 편집.

인도 아랍 문학

인도 : 종교 문학인 베다가 대표적임.

아랍 : 영웅시, 산문, 설화의 발전.

그리스 로마 문학

그리스 : 서사시, 이솝 우화, 비극 등

로마 : 여러 문명의 종합 및 전파

 

학습 내용의 보충·심화

 

1) 보충 자료

 

- 문학, 음악, 무용이 혼합된 원시 종합 예술(교과서 52쪽 13행)

 

이 시기에는 국가마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여러 날 동안 노래와 춤을 즐기는 국중 대회(國中大會)가 있었다. 이때 행해진 집단 가무(集團歌舞)는 원시 종합 예술로서 문학의 모태가 되었다. 그러다 차츰 분리되어 독자적인 예술로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한국 문학은 초기에는 무격 신앙(巫覡信仰, Shamanism)과 정령 신앙(精靈信仰, Totemism)을 바탕으로 하다가, 통일신라 이후 불교 사상과 유교 사상이 도입되면서 사상적 기반이 확대되었다. 또한 처음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구비 문학으로서 구비 전승되다가 한자의 도래와 함께 기록 문학으로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 단군, 동명왕, 박혁거세, 김수로왕 등의 건국 신화는 서사 문학의 원형적 모습을 보여 준다.(교과서 52쪽 16∼17행)

 

고대 서사 문학은 제천 의례 때 건국 서사시로 불려졌던 건국 신화, 즉 '단군 신화'나 '동명왕 신화'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건국 시조의 신성하고 장엄한 행적을 찬양하는 것들로서 '천신족(天神族)'으로서의 우월감을 바탕으로 민족의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건국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제시하면서 국가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민족 공동체가 지니는 원초적인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동명왕 신화'의 구조 즉, 영웅의 일대기 구조에 해당하는 '탄생-고난-극복-승리'의 구조는 한국 서사 문학의 원형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단군신화'는 민족의 고유한 세계관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서, 민족의 근원에 대한 암시와 아울러 '홍익인간(弘益人間 :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 널리 알려진 말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과 같은 보편적인 이념을 함축하고 있어 우리 민족의 의식 세계를 대변해 준다.

 

알아두기

 

①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삼국유사 : 활자본이며, 5권 2책으로 구성되었다. 편찬 연대는 미상이나, 1281∼1283년(충렬왕 7∼9)사이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현재까지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발견되지 않았고, 완본으로는 1512년(조선 중종 7) 경주부사(慶州府使) 이계복(李繼福)에 의하여 중간(重刊)된 정덕본(正德本)이 최고본(最古本)이며, 그 이전에 판각(板刻)된 듯한 영본(零本)이 전한다.

 

본서는 김부식(金富軾)이 편찬한 <삼국사기(三國史記)>와 더불어 현존하는 한국 고대 사적(史籍)의 쌍벽으로서, <삼국사기>가 여러 사관(史官)에 의하여 이루어진 정사(正史)이므로 그 문장이 정제(整齊)된 데 비하여, <삼국유사>는 일연 혼자의 손으로 씌어진 이른바 야사(野史)이므로 문사(文辭)가 <삼국사기>에 못 미침은 사실이나, 거기서 볼 수 없는 많은 고대 사료(使料)들을 수록하고 있어 둘도 없이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문헌이다. 즉, 그 중에서도 특히 고조선(古朝鮮)에 관한 서술은 한국의 반만년 역사를 내세울 수 있게 하고, '단군신화(檀君神話)'는 단군을 국조(國祖)로 받드는 근거를 제시하여 주는 기록인 것이다. 그 밖에도 많은 전설·신화가 수록된 설화 문학서(說話文學書)라고도 일컬을 만하며, 특히 향찰(鄕札)로 표기된 '혜성가(彗星歌)' 등 14수의 신라 향가(鄕歌)가 실려 있어 <균여전(均如傳)>에 수록된 11수와 함께 현재까지 전하는 향가의 전부를 이루고 있어 한국 고대 문학사(文學史)의 실증(實證)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다.

 

·삼국사기 : 1145년(인종 23년) 국왕의 명령을 받은 김부식의 주도 아래 최산보(崔山甫) 등 8명의 참고(參考)와 김충효(金忠孝) 등 2명의 관구(管勾)가 편찬하였다. 이들은 자료의 수집과 정리에서 함께 작업했지만, '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와 머리말, 논찬(論贊) 및 사료의 선택, 인물의 평가 등은 김부식이 직접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진삼국사기표'에는 "사대부가 우리 역사를 잘 알지 못하니 유감이다. 중국 사서는 우리나라 사실을 간략히 적었고, 고기(古記)는 내용이 졸렬하므로 왕·신하·백성의 잘잘못을 가려 규범을 후세에 남기지 못하고 있다."고 하여 편찬 동기를 기록하고 있다. 구성은 크게 본기(本紀) 28권, 지(志) 9권, 연표(年表) 3권, 열전(列傳) 10권으로 이루어졌다.

 

② 고대 문학의 발전 단계

 

·원시 종합 예술 : 최초에 문학이 독자적인 예술로서 나타났을 것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생활 속의 여러 일이나 의식을 거행하면서 이루어진 행위들 중에 문학적인 요소가 함축되어 있다가 점차 여러 예술로 분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 단계의 예술을 원시 종합 예술이라고 한다. 즉, 노래와 음악, 춤이 한데 어우러져 있었던 단계의 예술이다. 이 단계에서는 예술이 집단적인 행위와 깊이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사냥이나 제천 의식과 같은 집단 행사를 위해서 그와 같은 행위가 있었으리라고 짐작된다.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의 문학이 여기에 해당된다.

 

·신화시대 :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여러 문화적 양식이 발생하면서 이야기 형식도 발달하였다. 그러나 아직 사물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았기 때문에 주술적인 사고에 의해서 이해된 자연과 사회 현상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 나타난 문학의 형태가 신화이다. 신화는 신적인 존재를 등장시키지만 그것은 신적인 존재가 실제로 존재하였기 때문이 아니다. 이간의 상상 속에서 그러한 존재를 지어 내 이야기를 꾸민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신적인 존재가 등장하지만 거기에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이해가 반영되어 있음은 물론, 당대의 인간 생활의 중요한 관심거리가 이야기되는 특징이 있다. 즉, 하늘과 땅, 자연 사물이 왜 생겨났는가를 설명하는 천지 창조 신화에서부터 고대 사회의 성립을 신비화하여 이야기한 건국 신화 같은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화 형식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스·로마의 신화가 대표적인 형식이지만 각 민족의 시조 신화와 같은 건국 신화 등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영웅 서사시 : 신화적 사고에 의해 이해되던 자연과 사회가 인지가 발달하고 사회가 합리적인 조직을 갖추어감에 따라 점차 이성적인 이야기 형태로 재현되기 시작한다. 이 시대는 고대 국가가 성립하고 종족 간의 투쟁에 의해 노예제 사회가 성립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자신들의 영웅을 찬미하고 숭모하는 문학 형태가 발달하기 시작한 것이다. 통상 신화에 뒤이어 나타나는 영웅 서사시는 종족들 사이의 정복 전쟁에서 자신의 종족을 승리로 이끈 영웅의 일대기를 읊는 형식으로 정착되었으며, 아직 기록 수단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구전문학으로 전승되었다. 그리스의 '일리아드', '오디세이'는 영웅 서사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아랍 지역의 '길가메시 서사시', 인도의 '마하바라타', 우리나라의 '주몽 신화'등이 여기에 속한다.

 

·기록문학 : 문자가 발달하면서 세계 도처에서 기록 문학 시대가 시작된다. 중국의 구전문학을 집성한 <시경(詩經)>이나 개인 창작물인 <초사(楚辭)>등이 이 시기에 나왔으며, 그리스의 고전 비극이나 사포의 서정시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이 무렵에는 구전 문학과 기록 문학이 공존했기 때문에 기록 문학에도 집단적 구전 문학의 요소가 많았으나 점차 개인적 창작의 성격이 강해지면서 순문학으로 발전하는 양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각종 새로운 문학 갈래가 생기기 시작한 것은 기록 문학의 특성에 적합한 문학 형태를 모색한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심화자료

 

·삼국 시대의 부전(不傳) 가요 개관

 

나라

작품

내용

신라

도솔가(도率歌)

유리왕 때, 민속 환강(歡康)을 노래한 최초의 정형시. 향가의 모태

회소곡(會蘇曲)

유리왕 때, 한가위에 부녀자들이 길쌈내기를 하며 부른 노래.

치술령곡(致述嶺曲)

박제상의 아내를 애도한 노래. 망부석 사연. '정읍사'와 연관됨.

대악(代樂)

백결(白結)선생의 방아 노래. '상저가(相杵歌)'와 연관됨.

목주가(木州歌)

목주 효녀 효심가. '사모곡(思母曲)'과 연관됨.

원사(怨詞)

기생 천관(天官) 지음. 김유신이 말의 목을 베고 발을 끊으므로, 이를 원망한 노래.

무애가(無碍歌)

원효 대사 지음. 광대가 큰 바가지를 가지고 춤추며 노는 것을 보고 이를 모방해서 지었다고 함.

고구려

내원성가(來遠城歌)

항복한 오랑캐를 가둔 내원성의 노래를 읊은 노래

연양가(延陽歌)

연양 땅 머슴이 충실을 다짐한 노래.

명주가(溟州歌)

강릉 처녀와 잉어에 얽힌 노래.

백제

지리산가(智異山歌)

구례현의 한 여인이 왕의 입궁 명령을 죽음으로 거절하며 부른 노래

무등산가(無等山歌)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백성들이 그 안전 무사함을 기뻐한 노래

선운산가(禪雲山歌)

변경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며 선운산에 올라가 부른 노래. '정읍사'와 연관됨.

방등산곡(方等山曲)

방등산 도둑에게 잡혀간 아내가 남편이 구해 주지 않음을 원망하며 지은 노래.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