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 희곡 / 요점정리 / 이강백
by 송화은율결혼 / 이강백
구성 - 남자는 여자의 미모에 호감을 표시함->여자는 남자의 부유함에 호감을 보임->하인은 빌린 시간이 다 된 물건들을 하나씩 남자로부터 회수함->남자의 정체(가난함)가 드러남->여자가 떠나려 함-> 남자가 인생의 의미를 깨닫고(모든 것이 잠시 빌린 것이고 덧없는 것) 진실한 사랑을 고백함->여자가 마음을 돌려 결혼을 승낙함.
발단 : 가난한 남자가 결혼을 하기 위해 ‘넥타이, 시계, 라이터, 구두, 양복, 집, 하인’ 등 모든 것을 남에게 빌린 후 맞선을 보기로 한 여자를 기다린다.
전개 : 초조한 기다림 끝에 맞선을 보기로 한 여자가 도착한다. 남자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부자인 것처럼 위세를 부리면서 처음 보는 여자의 미모에 반해 결혼하려 한다.
절정 : 약속된 시간이 되면서 남자가 빌린 물건을 하인이 하나씩 빼앗아 가기 시작하고, 빈털터리인 남자의 실체가 드러난다.
하강 : 빌린 물건을 모두 빼앗긴 남자의 처지를 알게 된 여자가 떠나려 하자, 남자는 소유의 본질과 헌신적 사랑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여자에게 결혼해 줄 것을 설득한다.
대단원 : 여자는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인 후 그곳을 떠나자고 한다.
주제 : 소유의 본질과 진정한 사랑의 의미
특징 :
① 특별한 무대 장치가 없음
② 관객을 극중으로 끌어들임 : 배우가 객석에 내려가 관객의 물건(넥타이)을 빌렸다 돌려 줌
③ 이야기책의 내용을 극중의 현실로 바꾸는 기법을 사용함 : 이 작품은 '빈털터리 사기꾼의 결혼 성공담'이라는 서양 이야기책의 내용이 바탕이 됨
④ 익명성을 통해 남자, 여자, 하인의 모습이 우리들의 모습임을 상징적으로 드러냄.
인물 :
<여자> 물질적 요소에 끌림 / 사랑의 진실을 확인함 - 남자의 물질적 요소에 끌림. 어머니의 교훈과 남자의 진실된 사랑을 확인함
<남자> 빌린 물건으로 사랑을 갈구함/본래의 모습을 폭로를 당함/본질적인 사랑만을 호소함/사랑을 성취함 - 빌린 물건으로 사랑을 갈구하다 본래의 모습(가난)을 폭로 당함. 본질적인 사랑만을 호소하여 사랑을 성취함
<하인> 기계적으로 행동함/남자의 물건을 박탈함 - 시간을 상징함. 남자의 물건을 박탈하며 거짓을 폭로함.
이 작품은 : 빈털터리인 한 남자가 예쁜 아가씨와 결혼을 하기 위해 벌이는 여러 가지 일들을 우스꽝스럽게 그리면서, 진정한 사랑의 의미와 수유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남자가 부자처럼 꾸미기 위해 빌린 물건들에는 시간이라는 제약이 붙어서 남자는 시간이 지날 때마다 물건들을 빼앗기게 되고 결국 빈털터리임이 밝혀진다. 하지만 여자는 남자의 진심을 알고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들이 가진 것은 모두 빌린 것이며, 진정한 사랑만이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이 작품은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만나 대화를 나누고 결혼을 약속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단막 희극이다. 극 중에서 가난한 남자가 결혼을 하고 싶은 욕심에 갖가지의 것을 빌려 부자인 체하고 여자는 그런 거짓 부유함에 속아 대화를 이어나간다. 하지만 하인은 남자가 빌렸던 ‘넥타이, 시계, 라이터, 구두, 양복, 집’ 등을 차례대로 빼앗아 간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인생의 근본적인 문제 ‘소유와 진실’의 문제에 접근하게 된다. 즉 소유라는 것은 본래 누군가로부터 빌렸던 것이라는 점. 거짓에서 벗어나 진실한 태도를 보였을 때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점 등이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형상화되는 것이다.
핵심 짚기
‘소재’의 의미 : ‘최고급 저택, 라이터, 시계, 구두, 넥타이’ 등은 남자가 결혼하기 위해 준비한 것으로 물질적 부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은 남에게 빌린 것으로 시간이 되면 돌려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절대적 소유라는 것은 없음을 보여 준다. 또한 ‘덤’은 여자가 자신의 존재를 냉소적으로 보고 있음을 말해주며, 이는 남자로 하여금 자신의 사기 행각을 반성하게 하고, 여자를 이해함으로써 결국에는 진정한 사랑을 하게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 라이터 : 남자의 부를 드러내는 소재
- 하인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지품의 회수를 담당하는 기계적 역할, 시간, 인간의 숙명을 드러내는 존재
- 시간 : 인간의 유한성,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사진 : 젊음도 세월 속에서 사라지고 만다는 점을 깨닫게 하는 소재
- 넥타이 : 물질을 과시하려는 욕구나 허영을 의미하며, 또한 시간 제한을 두고 빌린 물건이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소유가 불가능한 것이라는 의미를 지님.
- 경고문 : 남자의 정체를 폭로하고 위기를 불러옴
- 구둣발 : 남자에게 물리적 위압
- ‘덤’의 의미
: 여자의 입장에서 자기 존재에 대한 냉소적 태도를 드러내는 표현
: 남자는 덤이라는 여자의 표현에 공감과 연민을 드러내고 여자에 대한 별명으로 부름
: 남자로 하여금 자신이 하고 있는 사기 행각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킴
: 모든 것이 잠시 빌린 것이고 덧없는 것임을 암시하는 단어
소유와 무소유, 역설의 논리 : 남자는 빌렸던 모든 것을 시간이 되어 돌려줌으로써 소유라는 것이 의미가 없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자신의 존재를 덤이라고 여기는 여자에게 사랑을 얻어 낸다. 결국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진정한 것, 즉 사랑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이 언젠가는 돌려주어야 하는 무의미한 것인데, 이것들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느라 정작 인생의 값진 것을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있는 것이다.
<보충>
희극 : 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연극의 대본
특징
: 무대 공연을 전제로 한 문학
: 갈등의 문학(희극의 내용을 전개하는 기본적인 원동력은 다양한 갈등임)
: 행동의 문학(눈앞에서 사건을 펼쳐 보여 줌)
: 현재 시제의 문학(사건을 현재의 시점으로 재현하여 보여 주는 문학이기 때문임)
: 대사를 통해 모든 사건이 전개되기 때문에 작가의 개입이 불가능한 문학
무대 형상화 요소
무대 – 배우가 관객 앞에서 연기를 할 때 필요한 공간
조명 – 인물의 심리, 극의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해 상황에 맞게 무대를 비추는 장치
의상 – 인물의 신분, 계층, 성격 등 배역에 맞게 준비된 옷
소품 – 무대 위에 배치되거나 무대 장치에 덧붙여 연기를 도와주는 소도구
배경 음악 – 극중 상황에 맞추어서 작품의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음악
음향 효과 – 극중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효과음으로 여러 가지 소리를 내어 극이 실감나게 함.
배우의 연기 – 배우가 극중 역할에 맞게 적절한 몸짓이나 음성으로 드러내는 모든 행위
소도구 – 기본적으로 극의 사실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작품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고, 때에 따라 사건의 발단을 암시하거나 주제를 부각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소도구의 종류 -
무대 위의 소품 : 한 예로 거실을 기준으로 하면 소파와 테이블, 텔레비전, 전화기, 화분, 오디오, 신문, 주전자, 휴지통 등이 됨.
인물 관련 소품 : 인물의 복장과 신발, 부착하고 있는 장식품 등
소극장 – 규모가 작은 극장으로, 대극장의 상업성을 지양하고 예술성을 추구하며 관객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참고> ‘결혼’의 희극적 성격
이강백의 ‘결혼’은 빈털터리 사기꾼의 결혼 성공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가 조금도 무리가 아닌 것이 이 작품의 처음과 끝을 사건 중심으로 쫓아가 보면 ‘빈털터리 사기꾼 남자의 결혼 의지->결혼을 위한 전략->결혼 성공’을 하게 되는 내용이다. 우리는 이 작품의 곳곳에서 희극적인 의장들을 만나게 되지만, 이러한 부분적인 의장들에 앞서서 이 작품이 처음보다 끝이 행복하게 끝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희극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강백의 ‘결혼’은 이처럼 빈털터리 사기꾼 남자의 결혼 성공담을 담고 있는 희극 작품이지만, 단순하게 웃고만 넘어 갈 수 없는 인생의 깊은 이치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작가 소개> 이강백 1947년 12월 1일 전북 전주 출생.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그는 등단 이래 1970년대의 억압적인 정치‧사회 상황하에서 제도적인 폭압 체계를 상징적으로 풀어내는 데 성공한 작가로 평가된다. 그렇지만 그는 제도적인 폭압 하에서 신음하는 개개인의 비극적 현실을 보여주기보다는 그러한 현실 이면에서 횡행하고 있는 권력의 위선을 폭로하는 데에 더욱 주안점을 두었다 「셋」(1972), 「알」(1972), 「파수꾼」(1974) 등이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