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가정소설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가정소설

가정소설이란 명칭은 한국문학, 특히 고대소설 연구를 시도한 안자산(安自山) ·정형용(鄭亨容) 등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이후 고대소설의 한 유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때 가정소설은 《사씨남정기》나 《장화홍련전》과 같이 가정사를 소재로 한 작품을 지칭하는 단순한 개념이었다. 그 후 가문소설, 가족사 소설 등의 새로운 용어가 도입됨에 따라 이들 개념어와의 변별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가정사를 다루되 당대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을 구분하여 가정소설이라고 규정하게 되었다.

가정소설이란 용어는 서구문학의 경우 크게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정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정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읽을거리 정도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한국 고대소설 중에는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많은데, 그들 중에는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사씨남정기》와 같은 작품들이 있고 전처 소생과 후처, 혹은 후처 소생 사이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와 같은 작품들이 있다. 가정소설은 흔히 적통주의(適統主義)라는 명분론적 논리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고대소설을 황당무계한 것으로 비판하면서 치지도외(置之度外)했던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으로부터도 가정소설만큼은 감계(鑑戒)의 뜻이 함축되어 있는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명분론에 힘입은 결과이다.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家庭小說

1) 구소설의 내용적 분류의 하나. 처첩(妻妾)간의 갈등이나 의붓자식과의 관계 등 가정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소설이다. 가정소설의 초기작품은 김만중(金萬重)의 《사씨남정기》로 처첩간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이는 상식적인 윤리관에서 가정의 비극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의붓자식과의 관계를 다룬 것으로는 치원설화(治寃說話)를 소설화한 《장화홍련전》이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적인 윤리를 내세우고 있다. 주요 작품에는 《양풍운전(梁風雲傳)》 《콩쥐팥쥐전》 《김취경전(金就景傳)》 《어룡전(魚龍傳)》 등이 있다. 또한 충과 효의 교훈을 담은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반씨전(潘氏傳)》 등이 있다.

2) 가정생활을 소재로 한 대중소설. 봉건적인 가정관계의 모순에 시달리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고 그녀가 그리스도교나 유교의 가르침, 또는 순수한 애정에 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등의 유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거기에는 가정 내의 모순을 일단은 묘사하지만 그것을 폭로하고 철저하게 원인을 규명하는 자세는 빈약하고 안이한 결말, 상식적·통속적 해결로 그쳐버리는 것이 많다.(출처 :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