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下獨酌 (월하독작)
by 송화은율
月下獨酌 (월하독작) 花下一壺酒 화하일호주 獨酌無相親 독작무상친 擧盃邀明月 거배요명월 對影成三人 대영성삼인 月旣不解飮 월기불해음 影徒隨我身 영도수아신 暫伴月將影 잠반월장영 行樂須及春 행락수급춘 我歌月排徊 아가월배회 我舞影凌亂 아무영능란 醒時同交歡 성시동교환 醉後各分散 취후각분산 影結無情遊 영결무정유 相期邈雲漢 상기막운한
꽃 밑에서 한 병의 술을 놓고 친한 이도 없이 홀로 마시네 잔을 들어 밝은 달님을 맞이하니 그림자 대하여 세 사람이 되었네. 달은 본래전부터 술 마실 줄 모르고 그림자는 그저 내 몸을 따를 뿐 잠시 달과 그림자를 벗하니 봄날을 당하여 마음껏 즐기네 내가 노래하면 달이 배회하고 내가 춤을 추면 그림자가 어지럽네 깨어 있을 때 함께 서로 즐기지만, 취한 뒤에는 각기 흩어지네. 속세 떠난 맑은 사귐 길이 맺고자 멀리 은하에서 만날 날을 기약하네. 天若不愛酒 천약불애주 酒星不在天 주성부재천 地若不愛酒 지약불애주 地應無酒泉 지응무주천 天地旣愛酒 천지기애주 愛酒不傀天 애주불괴천 已聞淸比聖 이문청비성 復道濁如賢 복도탁여현 聖賢旣已飮 성현개이음 河必求神仙 하필구신선 三盃通大道 삼배통대도 一斗合自然 일두합자연 俱得醉中趣 구득취중취 物謂醒者傳 물위성자전 하늘이 만일 술을 즐기지 않았다면 어찌 하늘에 술별이 있으며 땅이 또한 술을 즐기지 않으면 어찌 술샘이 있으리요 天地가 하냥 즐기었거늘 술을 좋아함을 어찌 부끄러워하리 맑은 술은 聖人에 비하고 흐린 술은 또한 賢人에 비하였으니 성현도 이미 마셨던 것을 헛되이 신선을 구하는가 석잔술은 大道에 통하고 한말 술은 自然에 합하거니 모두 취하여 얻는 즐거움을 깨인 사람에게 이르지 말라 또 다른 번역 하늘이 만약 술 좋아하지 않았다면, 주성이란 술 별이 하늘에 있지 않고, 땅이 만약 술을 좋아하지 않았다면, 땅에는 술 샘이 없었으리라. 하늘과 땅이 모두 술을 좋아하니, 애주는 하늘에 부끄러울 것 없도다. 예로부터 청주는 성인에 비하였고, 탁주는 현인과 같다 말하였다네. 청주와 탁주를 이미 다 마셨으니, 어찌 반드시 신선 되길 바랄 것인가. 석 잔 술 마시면 대도에 통하고, 한 말 술 마시면 자연과 합치되네. 오직 술 먹는 자만 취흥을 말 터이니, 깨어 있는 자에게는 전하지 말지어다. (출처 : 황견 편/이장우,우재호,장세후 공역 '고문진보) 요점 정리 지은이 : 이백 성격 : 풍류적, 낭만적, 주제 : 달빛 아래에서의 술을 마시는 즐거움 내용 연구 주성·주천 : 공융이 조조에게 보낸 '논주금서'에 '하늘에는 주성의 빛이 드리워 있고, 땅에는 주천의 고을이 늘어서 있다.'고 말하였다. 주천군은 '한서'에 무제 때 개설했다고 되어 있는데 물맛과 술과 같아 이름했다고 한다. 성현 : '예문류취' 위략'에 말하기를 태조가 금주하여 사람들이 몰래 마시라고 은어를 써서 탁주는 현자라 말하고, 청주는 성인이라고 하였다고 함. 이해와 감상 술 한번 마셔보시기를. 달밤에 술 마시는 맛 끝내주지 않을까? 그런 맛을 어찌 말로 표현하리오. 한번 마셔보시기를. 나도 그 맛을 표현 못합니다. 그런데 술 마실 때 인간을 벗어나면 그것은 바로 신선의 경지에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하리오.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