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垂 楊[수양] / 김영랑

by 송화은율
반응형

垂 楊[수양] / 김영랑

南方春信[남방충신] · 4

 

동백(冬柏)은 잎마다 소복소복 햇발을 지니고도 성하게 푸르다.

양지쪽이면 이 그믐께 그 싱하게 붉은 꽃도 터져 나오리라. 하늘에 총총 박

힌 별이 모두 진홍일진대 우리의 마음이 어떨꼬. 동백꽃은 숲이 그 가슴에

꼭꼭 박아놓은 붉은 별들이다. 떨어지는 날은 비창(悲愴)할 수까지 있다.

돌담에 얼크러진 연한 뿌리를 찾아낼 수가 없다. 잡초라 무심히 메일까 두

려워 그리 깊이 간직했는가. 잡초는 그대로 있을 데 있어 좋아 보이고 어울

리거늘.

 

금렵구(禁獵區) 안의 참새떼들이 오늘은 유난히 재재거리는 것이 마치 아

침 저자에서 나던 소리다. 심동(深冬)을 삼경사경(三更四更) 흉하게 울던

올빼미놈이 줄기만 앙상하니 뻗어 있는 기평 나뭇가지에 멍하니 앉아 까치

의 조롱감이 되고 있다. 퍽은 어리석어 보이는 귀 달린 새, 고놈이 밤중에

쥐를 잡아내는 품이 고양이와 다를 게 없다. 눈과 귀가 그 소리와 같이 흉

하게 된 새다.

 

원적(原籍)과 거주계(居住屆)가 다같이 이 금렵구 안에 있는 까마귀떼. 

번 큰 눈에 산과 들에 먹을 것을 못 찾고 구장(區長)의 남향 초가지붕을 마

구 헤치는데는 긴 간짓대로 날키러 다니는 수밖에 없었다. 좀해서 날아가려

고도 않는 것을 보면 검은 까마귀도 그리 미울 것도 없어 파도 안 나오면

갈 것을 기다리기로 한다.

 

큰 기평나무 세 그루가 그들 백자천손(百子千孫)의 보금자리요, 큼직한 대

삽이 그들의 안방이다. 대가족주의가 반포효도(反砲孝道)에서 생겼거니 싶

어 은근히 경의를 표할 때도 없지 않다.

 

까마귀까지 참새는 이 금렵구에서는 개 닭보다도 나와 사이가 가까웁다고

해야 옳은 말이다. 개 닭을 여러 번 죽인 뒤 더 안 치는 까닭도 있지만 근

본의 벽이 없어 잘 치지를 못한 때문이다. 참새는 내 섰는 앞 일채창(一釆

) 안에서 아무 위구심도 없이 예사 잘들 돌보면 작은 미물이지만 관심이

아니 갈 수 없다. 해조(害鳥)의 낙인이 찍힌 탓으로 더러 그것들의 발목이

베어지는 것을 보고 젊은 주인은 이 터 안을 금렵구를 만들었던 것이다. 

뒤 소년 총사(少年銃士)는 물론 실없는 놈팡이 이사(狸師)들도 접근을 안

시킨다.

 

텅 빈 하늘빛은 비로 쓸 만치 뿌옇다. 몇 날 안 가서 보드레한 에메랄드가

깔릴 것을 생각한다. 아무래도 수양(垂楊)이 초봄의 초신호(初信號), 부는 듯

마는 듯한 미풍에도 설레나니 기어코 파르스름한 초봄을 적시고 만다.

앞으로 5, 6일이다. 하루 한 번씩 수양을 바라보아 봄의 숨소리와 걸음걸이

를 뒤따를 수 있다. 이 몇 날이 가장 중요한 봄의 생리(生理) 기간이라 이

동안만은 점심을 굶더라도 지켜야 한다. 수양의 생리를 지켜야 한다.

()가 나들이를 차리고 나선다. 이건 남의 옷, 모자까지.

 

왜 또 이러오?”

“K()를 같이 가실거나. ()이한테를 가실거나.”

마음을 그만 가라앉히래두.”

오늘은 꼭 가겠어요.”

 

작정을 단단히 한 셈 같다. ()이를 그 눈 속에 묻고는 나만 한 번 눈

을 헤치고 가 보았지, 처는 핑계핑계하여 못 가게 해놨던 것이다. 날씨가

확 풀린 봄이요, 중이 생각이 불현듯 치밀어 나선 사람을 막을 수도 없고

하여 K()는 작파(作罷)하고 중이를 찾아가기로 한다.

3마장 논둑길, 별로 말도 없이 간다.

 

울지 말우.”

 

대답이 없다.

 

울 테요.”

 

벌써 처의 안면(顏面) 근육이 이상스러진다. 다행히 논두룩에 아직 일꾼은

안 나오는 때니 들킬 것은 없지만 자식을 묻고 뫼 찾아가는 우리 내외를 먼

빛으로도 짐작할 수도 있는 처지라 시하(侍下) 사정도 있고 남의 눈에 뜨일

것이 좋을 것도 없고 하여 첫번은 내 혼자 다녀왔던 것이다.

 

()이 생각이 나는가 하면 중이 그 두 눈이 먼저 보여져서 아찔해진다.

살리어 주기를 애원하는 두 눈, 중이는 특히 두 눈이 잘 생겼던 아이다. 10

년 전에 처음 둘째아이를 놓쳐 봤고 이번 중이를 보내는데 간()이 어찌

안 썩고 있는지 모르겠다. 사람의 죽음 중에 영아(嬰兒)의 죽음이 가장 불

쌍하지 않을까.

 

나도 눈물을 좀 냈다. 처는 목이 메이었다. 중이가 묻히던 밤, 반시간 앞

서 큰 눈이 내리기 시작하여 두 주일 동안 천지가 눈으로 덮여 버렸으니 죽

은 애가 척설(尺雪) 그 밑에 꽁꽁 언 땅 속에 그대로 눈물 내고 보채고 하

는 것만 같이 안타까울밖에 없다.

 

이번 갔다 오면 처도 웬만히 잊을 터이다. 그러므로 어린애 죽음이 더 불

쌍하다. 두 번을 다 아이를 놓치고 나면 봄이 찾아오게 된 탓으로 항상 마

음이 서언하다.

 

朝鮮日報[조선일보] 1940 2 28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