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乍晴乍雨(사청사우)

by 송화은율
반응형

乍晴乍雨(사청사우)

乍晴還雨雨還晴 사청환우우환청

天道猶然況世情 천도유연황세정

譽我便是還毁我 예아변시환훼아

逃名却自爲求名 도명각자위구명

花門花謝春何管 화개화사춘하관

雲去雲來山不爭 운거운래산부쟁

寄語世人須記認 기어세인수기인

取歡無處得平生 취환무처득평생

언뜻 개었다가 다시 비가 오고 비 오다가 다시 개이니,

하늘의 도도 그러하거늘, 하물며 세상 인정이라.

나를 기리다가 문득 돌이켜 나를 헐뜯고,

공명을 피하더니 도리어 스스로 공명을 구함이라.

꽃이 피고 지는 것을, 봄이 어찌 다스릴고.

구름 가고 구름 오되, 산은 다투지 않음이라.

세상 사람들에게 말하노니, 반드시 기억해 알아 두라.

기쁨을 취하려 한들, 어디에서 평생 즐거움을 얻을 것인가를.

비오락 볕나락 흐리락 개락

하늘도 저렇거니 사람에서랴?

날 기리는이 문득 날 헐 것이요. 이름 숨김은 도로 구함일레라.

꽃이야 피든 지든 봄은 무심코

구름이야 가건 오건 산은 말이 없네.

세상 사람들이여. 유념하시라.

한평생 낙붙일 곳 땅엔 없느니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시습 / - 손중섭 편저 -

형식 : 칠언율시

성격 : 비유적, 경세적

구성 :

수련 - 변덕스러운 세상 인심

함련 - 변덕스러운 사람들의 모습

경련 - 순리에 따르는 자연

미련 - 변덕스러운 인심에 대한 경계

운자 : 청, 정, 명, 쟁, 생

주제 : 세상 인심의 변덕스러움을 한탄함

표현 : 세상사람들을 시적 청자로 설정하여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작품의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대구 표현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내용 연구

 

언뜻 개었다가 다시 비가 오고 비 오다가 다시 개이니[변덕스러운 날씨],

하늘의 도도 그러하거늘, 하물며 세상 인정[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이라. - 변덕스러운 세상의 인심

나를 기리다가 문득 돌이켜 나를 헐뜯고,[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세태 비판]

공명을 피하더니 도리어 스스로 공명을 구함이라. - 변덕스러운 사람들의 모습 - 염량세태

꽃[변덕스러움]이 피고 지는 것을, 봄[변화와 상관없이 의연함]이 어찌 다스릴고.

구름[변덕스러움] 가고 구름 오되, 산[변화와 상관없이 의연함]은 다투지 않음이라. - 순리에 따르는 자연

세상 사람들에게 말하노니, 반드시 기억해 알아 두라.

기쁨을 취하려 한들, 어디에서 평생 즐거움을 얻을 것인가를.[자연과 대비되는 인간 세계에 대한 비판] - 변덕스러운 인심에 대한 경계

乍晴乍雨(사청사우) : 개었다 비오다 함

황세정 : '하물며 세상인정이랴', 반어형

변시 : 문득 이에, '便'은 음이 '변'으로 문득

도명 : 공명의 길에서 도망치다

화수 : 꽃이 지다.

득평생 : 평생의 소원을 얻다.

이해와 감상

세상 인심의 변덕스러움을 날씨에 읊은 것으로 세속적인 명리를 떠나 무위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작자의 인생관의 피력이다. 1.2구는 변덕스러운 세태인정이요, 3,4구는 그를 부연한 한 예시이다. 이 시는 손중섭 편저 '옛시정을 찾아서'에 의하면 " 남을 기리는 일은, 언제 그 태도가 표변하여 그를 헐뜯을지도 모를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이 오늘날의 인정이요, '명예'를 뜬구름인 양 여기는 사람도, 기실 오히려 은근히 '명예'를 구하는 이중성을 지니는 현실의 세태이다. 보라. 봄은 꽃으로 하여 봄다워지건마는, 그러나 봄은, 꽃이야 피건 지건 관심 밖으로, 자연에 맡겨 놓고 있을 뿐이요, 산 위로 넘나드는 구름에 따라 산의 얼굴도 달라지게 마련이지만, 그러나 산은, 구름이야 가든 오든, 이래라 저래라 요구하는 일이 없이, 그저 저 흐르는 대로 맡겨 놓고 있을 뿐이다. 인간은 공연히 제 스스로 바빠, 입신출세다 부귀공명이다 동분서주 안달하지만, 설사 뜻대로 얻었다 한들, 필경 그것이 무엇이랴? 기쁨도 잠깐의 일, 그에는 새로운 고뇌도 따라붙게 마련이다. 그러고 보면, 어느 한 곳에 뿌리 내려, 한 생애를 자득할 만큼의 기쁨을 얻을 곳이란, 이 지상에는 아무데도 없는 것이다. 다만 저 대자연처럼, 욕심 없이 얽매임 없이, 담담히 유유히 순리대로 살아가는 거기에, 오히려 은근한 생의 즐거움은 있는 것이라고, 세인에게 충언하고 있다. 동시에 이 끝구는, 어느 한 곳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아 다니는, 작자 자신의 유랑의 변이기도 하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의 시는 자신의 삶을 담고 있다. 그의 삶 또한 정치적으로 자유롭지 못했기에 이런 생각이 나왔는지 모른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