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잖’과 ‘-찮’의 표기

by 송화은율
반응형

‘-‘-의 표기

 

한글 맞춤법 제39항에서는 어미 ‘-뒤에 -’이 어울려 ‘--’이 될 적과 하지뒤에 -’이 어울려 ‘--’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종래 맞춤법 통일안에서는 , 으로 적던 것인데 줄어진 형태가 하나의 단어처럼 다루어진 경우에는 구태여 그 원형과 결부시켜 준 과정의 형태를 밝힐 필요가 없으며, 준말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의 구분이 임의적이기 때문에 일괄하여 , 으로 적게 규정한 것입니다.

 

그런데 규정에는 어느 경우에 ‘--’을 쓰고 어느 경우에 ‘--’을 써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위와 같이 질문이 나온 것이라 생각됩니다. 규정에 따르면 ‘-지 않-’이 줄면 ‘--’으로, ‘-치 않-’이 줄면 ‘--’으로 적으라고 하고 있으므로 앞말이 ‘-‘-냐에 따라 달리 적습니다. ‘-않다못하다와 같은 보조동사(보조형용사)와 결합하여 부정(否定)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쓰는 어미입니다. 따라서 모든 어간에는 ‘-가 붙는 것이 원칙입니다. 문제는 ‘-입니다. ‘-()’로 끝난 어간에 ‘-‘--’와 어울려 줄어든 것인데, ‘--’의 준말 현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가 나타나는 경우 복잡하게 됩니다.

 

‘--’가 줄어들 때는 (1) ‘--’가 줄고 이 다음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는 것(간편하게간편케, 흔하지흔치), (2) ‘이 어간의 끝소리로 줄어든 것(아무러하다아무렇다, 이러하다이렇다), (3) 어간의 ‘--’가 완전히 줄어든 경우(거북하지거북지, 생각하건대생각건대)의 셋으로 나타납니다. (1)의 경우는 ‘-‘-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경우이므로 이 경우에는 ‘-으로 적어야 합니다. 반면에 (2)(3)의 경우는 ‘-‘-로 변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 때는 아무렇잖다, 이렇잖다’, ‘거북잖다, 생각잖다와 같이 ‘--’으로 적어야 합니다. 특히 (2)와 관련하여 귀찮()’점잖()’와 같이 어간의 끝소리가 인 경우는 모두 귀찮잖다, 점잖잖다와 같이 ‘--’으로 적어야 합니다.

 

이제 남는 문제는 (2)(3)이 나타나는 조건을 밝히는 일입니다. (2)는 본말보다 준말이 널리 쓰이며 다른 어미가 결합할 때도 으로 끝난 불규칙용언과 같은 변화를 보이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은 끝소리가 , , 와 같이 무성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에 나타납니다. ‘거북하()’, ‘생각하()’ 모두 으로 끝나므로 ‘-앞의 ‘--’는 완전히 줄어 ‘-‘-가 될 수 없습니다.

 

정리하면 하다가 붙는 말 중 하다를 제외한 부분이 , , , 로 끝나지 않는 경우에만 ‘--’을 쓰고, 나머지는 ‘--’을 써야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