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로 끝난 용언의 명사형
by 송화은율■ ‘ㄹ’로 끝난 용언의 명사형
‘ㄹ’로 끝나는 용언에 명사형 어미 ‘-(으)ㅁ’이 결합할 때는 어떻게 표기하여야 합니까?
한글 맞춤법 제18항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ㄹ’로 끝나는 용언의 경우 그 예시(갈다:-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를 통해 ‘ㄹ’이 떨어지는 환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ㄹ’로 끝난 용언들의 어간 받침 ‘ㄹ’은 ‘ㄴ’, ‘ㅂ’, ‘오’로 시작되는 어미나 관형형 어미 ‘ㄹ’, 존경의 선어말어미 ‘-시-’ 앞에서 탈락하고 ‘-으-’ 없는 어미형이 바로 결합합니다. 국어에서 용언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면 ‘-으-’가 선행하는 어미를 쓰고, 모음으로 끝나면 그러지 않습니다(예:먹-으니/가니, 먹-은/가-ㄴ). 그러나 ‘ㄹ’로 끝난 용언은 다른 자음 어간과 달리 모음 어간과 같은 어미 활용을 보입니다. 즉, ‘-으-’가 선행하지 않는 어미형을 결합시킵니다. 명사형 어미 ‘-음/ㅁ’이 결합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날다’에 명사형 어미가 결합하면 ‘으’가 없는 어미 ‘-ㅁ’을 결합시켜 ‘낢’과 같이 써야 합니다. 이 때에 다른 활용에서와는 달리 ‘ㄹ’이 탈락하지 않는 것은 ‘날며’에서와 같이 ‘ㅁ’ 앞에서는 ‘ㄹ’이 탈락하지 않으며 ‘낢을’과 같은 ‘낢’이 다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는[날믈]과 같이 ‘ㄹ’이 소리나기 때문입니다.
어간이 ‘ㄹ’로 끝나더라도 파생명사를 만들 때는 ‘알음’, ‘놀음/노름’과 같이 ‘음’이 붙을 수 있습니다. 이런 파생명사들은 명사형과는 달리 용언의 서술성이 상실되고 그 의미도 약간은 변화하기 때문에 명사형의 표기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파생명사는 사전에 등재되므로 사전에 없는 형태라면 ‘낢’과 같이 받침을 ‘ㄻ’으로 써야 합니다. 현재 구어에서 ‘ㄹ’로 끝나는 일부 용언의 경우 ‘으’가 사용되는 일이 적지 않으나 이를 표기하는 규정이 어문 규범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어문 규범에 따라 표기해야 합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