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청개구리 / 요점정리 / 이무영

by 송화은율
반응형

작자소개

    이무영(李無影: 1908-1960)

충북 음성 출생. 휘문 고보 중퇴. 문학 수업차 도일(渡日)하여 세이조 중학 입학. 일본인 작가 '가토'의 집에서 기숙. <의지 없는 영혼>, <폐허>를 발표하여 문단에 등단. 1932년 희곡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이 <동아일보>에 당선됨. 그는 평생을 농촌과 농민들의 생활상을 작품화한 한국 농민 문학의 대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 <거미줄을 타고 세상을 건너려는 B녀의 소묘>, <꾸부러진 평행선>, <제1과 제1장>, <청기와집>, <농군>, <농민> 등이 있다.

 

요점정리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배경 : 일제 치하 농민 정책의 부재와 궁핍한 농촌 현실.
인물 : 최 첨지 - 궁핍한 삶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끈질긴 투쟁을 벌이는 의지적  인물.
주제 : 인간과 자연과의 원시적인 대결을 통한 현실 상황의 극복과 그 의지.

 

이해와 감상

  <청개구리>는 이무영의 농촌 소설이다. 비교적 내용이 단조로운 이 작품은 끈임없이 도전과 시련을 받는 한 궁핍한 농민을 소재로 작가의 현실 극복 의지의 단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무영이 극복하고자 하는 것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시 한국의 역사적 상황의 제반 문제들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최 첨지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 농민들의 공통적인 문제로 보아야 한다. <청개구리>는 현실 초월의 문학적 교시성이 담겨 있는 작품이다.

 

줄거리

  사십이 다 되도록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하던 최 첨지는 생과부와 결혼을 하여 살림을 난다. 소반 한 개, 상사발 두 개, 대접 두 개에 종지 한 쌍, 독저 두 매, 숟가락 두 켤레가 살림의 전부였다. 송곳 꽂을 땅도 없는 형편이라 동리 사람들이 서둘러 천수답 서 마지기에 따비밭 한 뙈기를 마련해 주어 농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최 첨지는 노루막이 잔등을 긁어서 산골물을 따비밭으로 끌어다가 논을 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일에 착수한다. 처음부터 많은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으나 최 첨지는 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농지 개량 공사의 유일한 동반자는 아내뿐이었다. 그러기를 삼 년, 피와 땀의 결실로 노루멕이에 닷 마지기의 논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 말기 일본군 비행장에 공급할 화약고기 이곳에 들어서는 통에 십 년 공이 일시에 허사로 돌아가고 말았다.

땅을 치고 울면서도 최 첨지는 이에 굴하지 않고 골짜기에 쌓인 흙을 가져다가 신작로 어귀에다 방죽을 쌓았다. 산골물을 이전의 골짜기로 돌리려는 것이었다. 열심히 방죽을 쌓았으나 채 반도 쌓기 전에 장마가 져서 며칠 동안 계속되던 비는 제방을 무너뜨릴 판이었다. 최 첨지로서는 마음만 좌불안석일 뿐 자연의 거대한 힘 앞에서는 어찌해 볼 도리가 없었다. 그러나 그냥 있을 수만도 없어서 빗속에 서서 며칠씩이나 방죽을 지켜보던 최 첨지는 쓰러지고 만다. 흐려져 가는 의식의 한 가닥을 붙들고 안간힘을 쓰던 최 첨지는 다시 일어섰다. 물난리 속에서 다시 살아난 것이다. 방죽도 터지지 않았고 사람도 살아난 것이다. 최 첨지의 끈질긴 투쟁이 결국 자연의 거대한 힘을 이겨낸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