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 독서/책읽기와 글쓰기

국부론 / 해설 / 애덤 스미스

송화은율 2021. 6. 14. 10:24
반응형

애덤 스미스 '국부론'

 

중상주의를 비판하며 자유방임주의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애덤 스미스(1723~1790) '국부론'은 경제학의 고전으로 불리운다. 애덤 스미스 이후 나온 모든 경제사상들은 '국부론'의 내용들이 분화, 발전된 것들이다. 마셜 케인즈 프리드만 등이 꽃피운 자유주의 경제사상은 물론이고 이에 팽팽히 맞선 리카도 마르크스등의 사회주의 경제사상도 그 뿌리는 '국부론'에 닿아있다.

 

과학으로서의 경제학은 '국부론'에서 비롯됐다는 평가는 과장된 수사가 아닌 셈이다. '불확실성의 시대'를 쓴 하버드대 갤브레이드 교수는 '성경' '자본론'과 더불어 '국부론'을 인류가 언제나 인용할 수 있는 참고서적으로 꼽을 정도다.

글래스고대학과 옥스퍼드대학에서 해치슨의 자유주의사상과 흄의 무역평형론을 배운 스미스는 이후 프랑스등지를 여행, 당시 유럽의 지식인사회를 휩쓸었던 자유주의.합리주의사상의 대가들인 흄 달랑베르 콩디악 케네 볼테르 등과 교분을 나누며 사상의 폭을 넓혔다.

 

1767년 고향에 돌아와 '국부론'집필에 착수, 10년만에 발표했다. 스미스는 평생을 독신으로 살면서 독서와 집필에만 매달렸지만 자신이 살아있는 동안 펴낸 저서는 '도덕감정론''국부론' 단 두권뿐이었다. '국부론'은 서론을 빼고 모두 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는 국부를 '국민의 노동으로 해마다 공급되는 생활필수품과 편의품의 양'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실질국민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편에서는 사회적 분업의 메카니즘과 분업의 생산물이 각 계층에 분배되는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있다. 스미스는 국부의 크기를 좌우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생산력으로 보았다. 2편에서는 교환가치와 사용가치, 자연가격과 시장가격을 구별하고 있다. 또 이윤을 독립적인 범주로 확립하고 이윤율과 임금률의 동향을 발전적. 정체적. 후퇴적 등의 사회상태에 따라 파악했다. 3편에서는 연간생산물에 대한 총수입과 순수입을 구별한 뒤 이를 기초로 재생산관계를 분석했고, 4편에서는 각종의 독점적 특권과 제한적 규제가 뒤따르는 중상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 자유방임경제를 위해서는 국가의 기능이 국방 사법 경찰 공공사업에만 한정돼야한다는 언급은 마지막 장인 5편에 나온다.


 

 

 

반응형